본문 바로가기
SALIGO

활성산소 정말 나쁜 것인가?

by saligo 2015. 8. 13.
반응형

활성산소는 과연 나쁜 것인가?


 


최근 활성산소가 질병의 90%에 관여한다는 이론이 나오면서 활성산소는 죽일 놈이 되었습니다.


그러면 활성산소는 정말 나쁜 것일까요?


 

활성산소의 많은 부분은 면역체계에 작용합니다. 

외부의 나쁜요소(독)이 들어오면 이를 공격해서 없애는 것도 활성산소입니다.

 

예를 들어 체내에서 과산화수소의 분해 결과 생성되는 수산화 라디칼은 병원체 등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여 소독약 역할을 수행합니다. 

암세포를 공격해 막아내는 NK세포도 활성산소를 이용합니다. 

바이러스 침투를 막아내는 백혈구도 활성산소를 이용합니다.

 

 이처럼 인간이“건강”에 있어서 활성 산소”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brown_and_cony-35 


 

이렇듯 활성산소는 인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활성산소를 무조건 나쁜 것으로 인식해서 모두 싹쓸이 하는 것은 오히려 건강을 해치게 됩니다.

 

대표적인 항산화물질이라고 하는 비타민의 과용 복용은 오히려 수명을 단축시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합니다. 

이는 항산화만 생각해서 활성산소를 모두 죽이면 오히려 몸에 정말 필요한 저항군을 다 죽여서 면역체계에 문제가 생긴다는 반증이겠지요.

방어군 내에 첩자가 있다고 해서 군대 전체를 없애는 꼴이 되는 겁니다.

 cony_special-22



그저 첩자만 없애면 되는데 말입니다.



활성산소 중에 몸에 치명적 해악을 끼치는 것은 하이드록시라디칼입니다.

이 활성산소가 미토콘드리아, 세포, DNA를 산화시켜 신체의 노화나 질병을 발생시는 것입니다.

그러면 건강을 위해서는 신체 방어군의 첩자 하이드록시라디칼만 잡으면 되는 것이지요^^

 

과연 이 놈만 잡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바로 수소입니다.

 

사실 수소는 비타민에 비해서 항산화 즉 환원력이 떨어집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서 좋은 활성산소는 건드리지 못하고 산화력이 강한 첩자인 하이드록시라디칼이라는 활성산소에만 반응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활성산소와 유해산소를 구분해서 표현하기도 합니다. 

수소는 엄청 날뛰는 유해산소인 하이드록시라디칼과 반응해서 순한 물로 만들어서 그 독성을 없애줍니다.

line_rangers_2-9 

 

이와 아울러 소는 그 크기가 매우 적습니다.

수소는 세포의 에너지 공장이라고하는 0.5미크롬 정도인 미토콘드리아보다도 1/10,000밖에 안되게 엄청 작습니다. 

그러다보니 몸의 구석구석 도달하지 못하는 곳이 없지요

특히 뇌에 이물질 진입을 막는 뇌관문이 있는데 대부분이 항산화물질을 여기를 통과 못하지만 수소는 여기도 쉽게 통과해서 뇌세포 속의 활성산소까지 제압할 수 있는 대단한 능력을 보입니다.

 

- 정리 -

모든 활성산소가 나쁜 것은 아니다.

가장 악동인 하이드록시라디칼을 잡는 것이 항산화의 핵심이다.

수소는 인체 구석 구석을 다니며 하이드록시가디칼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먹는수소 세계 최저가 구매, 안전한 해외직구 사이트  : 

(아래 그림을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하면 최저가 구매가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