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왜 유지기가 더 어려운가?
- 2. 정체기? 유지기? 헷갈리는 시점 구별법
- 3. 키토 유지기에도 식단 전략이 필요한 이유
- 4. 피해야 할 유지기 식단 실수 3가지
- 5. 유지기 추천 식단 구성
- 6. 요요 방지를 위한 생활 습관 변화
- 7. 키토 유지기의 성공 핵심 요약
1. 왜 유지기가 더 어려운가?
감량보다 유지가 어렵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키토제닉 식단을 통해 목표 체중에 도달했더라도, 이후 어떻게 먹어야 할지 몰라 방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엔 잘 빠졌던 체중이 어느 순간 멈추고, 기대만큼의 변화가 없자 좌절하거나 식단을 중단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시점은 오히려 '키토 적응이 성공적으로 끝난 단계'이기도 하죠.
이제는 유지기에 맞는 식단과 생활 습관으로 몸이 안정적으로 균형을 되찾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정체기? 유지기? 헷갈리는 시점 구별법
우선 정체기와 유지기의 개념부터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 정체기: 아직 목표 체중 도달 전, 체중 변화가 멈춘 상태
- 유지기: 이미 목표 체중에 도달한 이후, 현재 체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단계
많은 분들이 이 둘을 혼동해 계속 감량하려고 하다가 건강을 해치거나 요요를 겪습니다. 유지기는 체중계 숫자보다 신체 조성(근육, 체지방 비율)을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키토 유지기에도 식단 전략이 필요한 이유
“이제 살 빠졌으니까 그냥 유지하면 되지 않나요?” → 그렇게 생각하고 아무 계획 없이 식사하면 요요는 금방 옵니다.
유지기에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식단 전략이 필요합니다:
- 탄수화물 재도입 시기 조절
- 지방 섭취량 조정 (감량기 대비 소폭 감소)
- 포만감 유지와 혈당 안정을 위한 식이섬유 중심 구성
- 근육 유지/체지방 억제를 위한 단백질 비율 유지
특히 키토제닉을 오래 유지하다 탄수화물을 다시 섭취할 경우, 인슐린 민감성이 떨어진 상태에서 급격한 혈당 상승이 올 수 있습니다. → 이 시점에 적절한 단계적 전략이 필요합니다.
4. 피해야 할 유지기 식단 실수 3가지
① 무작정 탄수화물 폭식
갑자기 빵, 떡, 밥을 먹기 시작하면 몸은 그동안 억제해왔던 저장본능으로 다시 지방을 축적합니다.
② 단백질/지방 섭취 부족
체중이 줄었다고 식욕도 줄었다고 느껴질 수 있으나, 기초대사량 유지를 위한 단백질과 적정 지방은 여전히 필요합니다.
③ 간식 위주의 습관 복귀
'무설탕'이라는 이름의 가공 식품이나 과한 간식 위주로 식단이 돌아가면 혈당 안정, 대사 유연성 회복 효과는 사라집니다.
5. 유지기 추천 식단 구성
✅ 탄수화물: 하루 30~50g 이하 → 채소 위주, 당분이 낮은 베리류 OK
✅ 단백질: 체중 1kg당 1.5~2.0g 유지
✅ 지방: 감량기보다 10~15% 낮춘 비율 (건강한 지방 위주)
✅ 식단 예시
- 아침: 아보카도 + 계란 스크램블 + 커피
- 점심: 닭가슴살 샐러드 (올리브유 드레싱)
- 저녁: 연어구이 + 시금치 볶음 + 브로콜리
- 간식: 블루베리 5~6개 + 아몬드 한 줌
6. 요요 방지를 위한 생활 습관 변화
생활 루틴 안정화가 관건입니다.
- 주 3~4회 가벼운 웨이트 or 유산소 운동
- 간헐적 단식 병행 (예: 16:8)
- 일관된 수면 시간 유지
- 하루 2~3리터 수분 섭취
- 식사 중 스트레스 줄이기
이런 루틴이 자리 잡혀야 장기적인 체중 유지가 가능해집니다.
7. 키토 유지기의 성공 핵심 요약
항목 | 전략 |
---|---|
탄수화물 | 식이섬유 위주 30~50g |
단백질 | 체중 1kg당 1.5~2g |
지방 | 건강한 지방, 감량기보다 소폭 줄이기 |
간식 | 무가당 베리류, 견과류 |
운동 | 주 3~4회 가볍게 |
식사 습관 | 스트레스 줄이고 천천히 |
체중 감량이 끝났다고 키토가 끝난 건 아닙니다. 이제는 '건강한 대사 상태를 유지하는 법'을 배우는 시점입니다.
유지기는 숫자를 지키는 싸움이 아니라, 생활 습관과 식단의 균형을 맞추는 과정입니다.
📌 이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SALI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약 없이 조절할 수 있을까? 식단으로 도전하는 건강한 변화 (0) | 2025.04.28 |
---|---|
공복 커피, 지방 태우는 루틴인가 속쓰림 유발자일까? (0) | 2025.04.25 |
키토제닉 다이어트 중, 간식이 필요할 때! 똑똑한 키토 간식 선택법 (0) | 2025.04.15 |
키토제닉과 간헐적 단식 병행법 – 지방 태우는 최고의 조합 (0) | 2025.04.15 |
키토제닉 외식 가이드 – 저탄고지 다이어트 중 외식하는 법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