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먹는수소2

활성산소의 종류 과산화수소 (H202)과산화수소는 우리들이 많이 알고 있는 '빨간약' 이다.빨간약 또는 포비돈요오드액 이라고 불리는데산소와 과산화수소가 분리되면서 하얀거품이 올라오는데 이때 활성산소가 발생한다.활성산소 작용으로 상처에 있는 세균을 죽이는 효과가 있다. 슈퍼 옥사이드 음이온(`O-2)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생산할 때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전자가 한 개 씩 방출된다. 1중항산소(1O2)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피부나 체내에 발생하는데,산소원자가 2개 들러붙은 산소분자에서 한쪽의 전자가 다른 쪽 궤도에 들어가원래 궤도가 비어있는 형태로 산화력이 강하고, 피부암 등 암과 노화의 주 원인이다. 하이드록실 라디칼(`OH)가장 활발하고 산화력이 강한 활성 산소로산소분자의 원자 2개가 분리되어 각각의 원자에 전자가 하나씩.. 2015. 8. 13.
활성산소 정말 나쁜 것인가? 활성산소는 과연 나쁜 것인가? 최근 활성산소가 질병의 90%에 관여한다는 이론이 나오면서 활성산소는 죽일 놈이 되었습니다. 그러면 활성산소는 정말 나쁜 것일까요? 활성산소의 많은 부분은 면역체계에 작용합니다. 외부의 나쁜요소(독)이 들어오면 이를 공격해서 없애는 것도 활성산소입니다. 예를 들어 체내에서 과산화수소의 분해 결과 생성되는 수산화 라디칼은 병원체 등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여 소독약 역할을 수행합니다. 암세포를 공격해 막아내는 NK세포도 활성산소를 이용합니다. 바이러스 침투를 막아내는 백혈구도 활성산소를 이용합니다. 이처럼 인간이“건강”에 있어서 “활성 산소”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렇듯 활성산소는 인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활성산소를 무조건 나쁜 것으로 인.. 2015. 8. 13.